미국 기밀협회 주관한 FED 현장의 기밀진단은 나름의 양식과 나름의 규격에 의한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하지만 이 기준은 갈길이 먼 기준이다...

사용조건 위주의 기밀 단열 설계가 기본이어야 하는데....사용조건에 맞게 단열 기밀이

안되어 있다보니...실제 에너지효율이 투입대비 많이 나지않을 것으로 본다..

설계에 반영된 것은 화려하나 ...

 

조목 정리하면

1) 사용조건 단열 기밀이 반영이 안되어 있다

2) 천정위 빈 공간이 너무 커서 손실요소가 크다

3)단열 기밀이 외피위주로 사용조건에 맞게 덜 반영되어 있고

  외피의 효율을 높였으면 설비가 그 만큼 수요가 줄어들어야 하는데

  예전 설비 용량들이 그대로 다 들어가 있어 비효율이다.

4)시공에 관여하는 시스템이어서 건축비가 많이 든다

5) 기밀진단이 순 외피성능위주 진단이다..

     댐퍼 성능포함 기밀진단 과  실 사용조건 기밀진다능로 실제 에너지 성능이

    향상되는 KBAA 기준을 참고하여야 한다..

    이 문제는 미국 기밀협회장과도 많은 의견을 주고 받았다...

 

 6) 시공자가 스스로 알아서 시공하고 문제있음 전적으로 책임지는 시스템이

     시공비가 적게들게 되고... 진단은 독립된 제3의 단체에서 진단하여 신뢰성과

    실 사용에너지 저감에 노력하는 시스템으로 한국건축이 바뀌어야 한다.

 

  kbaa 현대 고효율 건축기밀 규격서 참고

 

첨부: 사례진단

         보안을 위하여 관련 내용들을 다 삭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