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밀진단은 규격에 의한 진단이다...

세세한 규격에 의하여 진단할 건물준비를 하여야 하고 주어진 동등한 조건하에서

진단하여야 한다...그렇지 않으면 오차가 클수밖에 없다...이럴경우 진단의 신뢰성

이 문제가 된다...

 

독일 기밀협회에서 진단의 정밀성을 분석하여보니...

규격에 따른 경험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고 한다...

우리도 이런 시행착오를 격지 않기 위해서는 사전 준비할것이

많다...먼저 규격 정비이다...ISO9972 가 표준협회 요식부회에서 번역하여

놓고 KS 규격화 되어있다....국내에서 이 규격에 적합하게 진단하는사람이

없다는 사실이다...

 

  먼저 규격의정비와 규격에 따른 진단 경력이 문제가된다..

정밀성을 위해서는 ...이런 오차를 벗아니기 위해서는 국제수준의

기밀진단 수준이 배양이 필요로 할듯하다...

지금처름 대충 규격이란 미명하에 진단되는 진단은 객관성이 떨어진다

기밀진단은 실증 절차이다...이런 실증이 대충이란 형식에 뭍히면 정말

우리건축이 바르게 선진국의 문특을 넘기란 힘든 상황이 될듯하다...

 

  기밀협회는 이런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른 실증이 될수있도록  준비하려 한다.

기밀진단으로 이미 선진국은 더 많은것을 얻고 있는데

블러도어만을 작동시키는 이런 수준에서 결정된다는 것은 절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